도서관·박물관 현판 일체 정비
도서관·박물관 현판 일제 정비
- 도서관 현판 진주지역 유명 서예가의 작품으로 새 단장 -
- 도서관·박물관 이용자에게 보다 나은 이미지 선사 -
도서관은 낡고 도색이 빛바랜 도서관 목재 현판을 유명 서예가의 작품으로 새롭게 단장하였다. 정문인 교문 방향은 한자로, 학생회관 방향은 한글 청동 현판으로 각각 제작하였다.
도서관 한자 현판은 유당(惟堂) 정현복(鄭鉉輻; 1909-1973)선생의 작품이고, 한글 현판과 ‘일반열람실’ 현판은 여속(如粟) 정의림(鄭義霖)씨의 작품이다. 정현복선생은 진주지역에서 활동하며 국전심사위원, 초대작가 등을 역임했던 유명 서예가로서 한시와 국악에도 조예가 깊었다. 오늘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서예대가 소헌(紹軒) 정도준씨가 그의 차남이기도 하다. ‘촉석루’현액과 주련을 쓰는 등 많은 서예작품을 남겼다. 특유의 호방함과 거침없는 성격이 글씨에 잘 나타나 있다는 평이다. 제4대 도서관장(1960-1964)을 역임한 정좌용(鄭佐容, 임학과) 교수가 재임시 유당선생과 친분이 깊어 1960년경에 받아둔 글씨가 이제야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아들 정도준씨는 경상대학교 정문의 교명과 교훈인 ‘개척(開拓)’을 썼다. 이로서 부자가 나란히 경상대학교에 작품을 남기게 되었다.
또 여속(如粟) 정의림(鄭義霖)씨는 하동 옥종의 ‘남명조선생숭모비(南冥曺先生崇慕碑)’등을 썼으며, 현재 한국서도예술협회 회장, 한국미협 이사로 있는 중견작가다.
허권수 도서관장은 3일 오전 11시 글씨를 희사한 정의림씨를 도서관장실로 초청하여 감사패를 수여하고 기념촬영을 하였다.
도서관 6층에 있는 박물관에서도 지난 11월 21일 개관 30주년을 기념해서 은초(隱樵) 정명수(鄭命壽; 1909-1999)선생의 글씨로 현판을 도서관 서쪽 출입구에 권순기 총장 등 내외인사를 초청, 교체하여 달았다. 은초는 진주에서 활동한 대표적 서예가로 현액 등 큰 글씨를 잘 썼는데, 촉석루 ‘남장대(南將臺)’, ‘비봉루(飛鳳樓)’ 등 많은 현액 작품을 남겼다.
도서관 건물을 진주 출신 유명 서예가의 작품으로 현판을 모두 교체하여 도서관과 박물관을 방문하는 이용자에게 보다 나은 학교 이미지를 제공하게 됐다.